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/역사
(r1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= 2025년, 시즌 통합 리그제 출범 === ||<tablewidth=640><tablealign=center><tablebordercolor=#1c192b,#1c192b><bgcolor=#1c192b,#1c192b><nopad> [youtube(6GXQ2AuClwQ)] || 2025 시즌부터 전 세계 [[LoL e스포츠]]의 포맷이 크게 변경됨에 따라, LCK 또한 연간 스케줄이 대규모 개편되었다. 먼저 과거 스프링·서머의 개념이 없어지고 하나의 시즌으로 통합되는데 스프링 시즌은 1~2라운드로, 서머 시즌은 3~5라운드로 개편되며 첫 번째 스플릿 자리에는 [[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Cup|LCK CUP]]을 신설한다. 시즌이 끝난 이후 LCK 플레이오프라는 명칭으로 지역 챔피언십을 치르며, LCK 플레이오프에서 3~4위 이상을 차지한 팀에게 [[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|월드 챔피언십]] 출전권을 부여한다. [include(틀:상세 내용, 설명=LCK Cup에 대한, 문서명=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Cup)] [[First Stand Tournament|FST]]가 종료되고 4월에 LCK 정규시즌이 개막하며, 1~2라운드는 기존 방식대로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치른다. 1~2라운드에서 1~6위를 차지한 팀들에게는 [[Mid-Season Invitational|MSI]] 선발전, 일명 로드 투 MSI 출전권을 부여하며, 과거 2020 서머까지 사용했던 계단식 토너먼트로 선발전을 치르게 된다. 차이점이라면 1~2위를 차지한 팀들은 바로 MSI 진출권이 걸린 라운드로 직행하여 승리 팀에게 MSI 1번 시드 출전권을 부여하며, 3~6위는 계단식 토너먼트를 치른 이후 최후의 승자가 1~2위 대결에서 패배한 팀과 대결하여 승리 팀에게 MSI 2번 시드 출전권을 부여한다는 점이다. [[파일:lck load to msi.jpg]] MSI가 종료된 이후 3~5라운드는 [[스플릿 리그]]제로 실시되며, 1~2라운드에서 1~5위를 차지한 팀들은 레전드 그룹으로, 6~10위를 차지한 팀들은 라이즈 그룹으로 재편성된다.[* 레전드 그룹은 [[Legends Never Die]]를, 라이즈 그룹은 [[RISE(리그 오브 레전드)|RISE(노래)]]를 떠오르게 하다 보니 '[[이상혁]] 그룹'&'[[강찬용|강찬밥]] 그룹'이라는 개드립성 반응들이 나왔는데, [[LPL]]이 실제로 [[https://m.fmkorea.com/8686640225|IG, FPX, EDG를 상징하는 이름을 사용한 것을 보면]] 진짜로 SKT와 삼성의 우승 서사에서 따와 이름을 지었을 가능성이 높다.] 남은 3라운드는 [[K리그1]]의 파이널 스플릿 제도와 동일하게 해당 그룹끼리만 트리플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치르게 되며 다른 그룹 팀과는 만나지 않는다.[* 이에 따라 라이즈 그룹 팀이 레전드 그룹 팀의 성적을 넘더라도 순위는 바뀌지 않는다.] 5라운드가 종료된 이후 1~5라운드 성적을 합산하여 레전드 그룹 1~2위 팀은 플레이오프 2라운드로 직행하고, 3~4위 팀은 플레이오프 1라운드로 직행하고, 레전드 그룹 5위 팀과 라이즈 그룹 1~3위 팀은 플레이-인 라운드를 추가로 진행한다. 플레이-인 라운드는 [[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]] 방식으로 진행되며, 승자조 승리팀은 5번 시드로, 패자조 승리팀은 6번 시드로 LCK 플레이오프에 참가하게 된다. [[파일:lck 3to5.jpg]] 플레이-인 라운드가 종료된 이후 비로소 LCK 플레이오프를 개최하며, LCK 플레이오프 역시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시즌을 치러 플레이오프에서 우승하는 팀이 비로소 '''LCK 연간 챔피언'''에 등극하게 된다. 그리고 LCK 플레이오프에서 1~3위를 차지한 팀은 월드 챔피언십 각각 1~3번 시드를 부여받으며, 당해 MSI 준우승 이상시 4위 역시 4번 시드로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게 된다. [[파일:lck 플레이오프.jpg]] 이번 개편에 따라 모든 팀들은 과거보다 더 많은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. 극단적인 경우 최소 35경기[* LCK CUP 꼴찌(5경기), LCK 1~2라운드 7~10위(18경기), LCK 3~5라운드 라이즈 그룹 4~5위(12경기)를 했을 경우 나오는 최소 단위 경기 수다.]로 2024 시즌보다 더 적게 치르는 팀이 생길 수도 있지만, 이런 극단적인 경우의 수가 아닌 이상 지난 시즌보다 더 많은 경기를 치르게 되며 상황에 따라서는 LCK에서만 56경기[* LCK CUP 최대 13경기, LCK 1~2라운드 18경기, 로드 투 MSI 최대 4경기, LCK 3~5라운드 12경기, LCK 플레이오프 최대 9경기]를 치르는 팀도 생길 수 있다. 한편 [[LCK Challengers League|LCK CL]]도 LCK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. LCK 컵 포지션인 챌린저스 킥오프를 시작으로 1~2라운드 더블 플리그를 진행한 뒤, 3~5라운드는 챌린지(레전드) 그룹과 트라이얼(라이즈)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한 뒤 플레이-인과 플레이오프를 거처 우승팀을 선정한다.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